도심융합특구 5개 광역시 지역별 개발 계획 한눈에 보기
국토교통부가 2023년 11월, 부산, 대구, 광주, 대전, 울산 5개 광역시 도심을 ‘도심융합특구’로 지정하고 본격적인 개발에 나섰습니다. 2025년 4월 22일 국토연구원에서 "도심융합특구 종합발전계획 수립 연구 용역"의 착수보고회 개회함으로서 본격적으로 착수하여게 되었습니다.
각 지역별 특성을 살린 다양한 혁신 전략이 추진되고 있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도심융합특구가 무엇인지, 그리고 지역별로 어떤 발전계획이 수립됐는지 쉽게 정리해보겠습니다.
도심융합특구란?
도심융합특구는 산업, 주거, 문화 기능이 결합된 복합혁신공간을 조성하는 프로젝트입니다.
기업 투자를 유치하고 청년 일자리를 창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각 부처의 지원사업을 집중시켜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려는 광역 성장거점 사업입니다.
이번에 선정된 5개 광역시는 각자의 산업 강점을 살려 맞춤형 개발 계획을 수립하고 있습니다.
지역별 도심융합특구 개발 계획
1. 부산광역시 - 센텀2지구 중심
- 핵심 전략: 스마트선박, 로봇, 지능형 기계 산업 육성
- 주요 계획: 센텀2 산업단지를 중심으로 첨단 기술 기반 복합 혁신단지 조성
2. 대구광역시 - 경북도청 후적지 개발
- 핵심 전략: 도심항공교통(UAM), 첨단로봇, 반도체 산업 혁신
- 주요 계획: 경북대학교, 삼성창조캠퍼스와 연계한 첨단 산업벨트 구축
3. 광주광역시 - 상무지구 인근
- 핵심 전략: 의료 디지털, 미래 모빌리티 산업 육성
- 주요 계획: 의료 연구시설 및 모빌리티 관련 클러스터 조성
4. 대전광역시 - KTX 대전역세권
- 핵심 전략: R&D 거점 육성
- 주요 계획: 대덕연구개발특구와 연계한 혁신 생태계 강화
부산·대구·광주·대전·울산 ‘도심융합특구’ 지정…판교형 테크노밸리 본격 착수 - 뉴스티앤
정부가 도심융합특구를 지정하여 지방 혁신성장의 거점으로 활용하고, 전국 각지에 판교형 테크로밸리 조성에 나선다.국토교통부는 부산, 대구, 광주, 대전, 울산 등 5개 광역시에 대해 도심융
www.newstnt.com
5. 울산광역시 - KTX 울산역세권 및 테크노파크
- 핵심 전략: 모빌리티, 이차전지, 수소산업 중심
- 주요 계획: 전략산업을 기반으로 한 혁신도시 조성
행정규칙(훈령·예규·고시)
행정규칙(훈령·예규·고시) 프린트 울산 도심융합특구 지정 및 지형도면 고시 ◉국토교통부고시 제2024- 호 울산 도심융합특구 지정 및 지형도면 고시 「도심융합특구 조성 및 육성에 관한 특
www.molit.go.kr
도심융합특구, 기대 효과는?
도심융합특구는 단순한 도시개발을 넘어,
- 청년 일자리 창출
- 기업 투자 유치
- 지역 경제 활성화
- 지방시대 실현
등 다양한 효과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특히 지역별로 특화된 산업이 육성되면서, 대한민국 전역에 걸쳐 균형 있는 발전이 이루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마치며
도심융합특구는 대한민국 지방 대도시들의 미래를 새롭게 그리는 큰 그림입니다.
앞으로 각 지역이 어떻게 변화하고 성장해나갈지 기대가 됩니다.
"지역이 살아야 나라가 산다"는 말처럼, 지방 혁신의 중심이 될 도심융합특구의 앞으로의 행보를 계속해서 지켜봐야겠습니다.
'라이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도로교통법 어떻게 바뀌었나? (0) | 2025.04.29 |
---|---|
공인중개사로 새롭게 시작하는 당신을 위한 필수 전략! (0) | 2025.04.28 |
헷갈리는 상처 연고 vs 흉터 연고, 어떻게 써야 할까요? (0) | 2025.04.27 |
상처의 종류와 상처에 따른 적절한 처치 방법 (0) | 2025.04.27 |
아파트 구입시 고려 사항 - 체크리스트 (0) | 2025.04.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