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라이프

시대별 인기 직종과 없진 직업

by 우리두리둥실 2025. 2. 7.

 

 

 

 

 

 

 

 

1950년대 : 전쟁 이후 재건과 산업화의 시작

 

인기 직종

1950년대는 한국전쟁 이후 국가 재건과 경제 회복이 중요한 시기였다. 여전히 농업 중심의 경제 구조를 유지했으나, 산업화의 초기 단계로 접어들면서 변화가 시작되었다. 이 시기에는 건설업, 섬유산업, 영화산업이 주목받았다. 국가 재건을 위한 토목기사, 건축기사가 중요한 역할을 했고, 영화 산업이 부흥하면서 영화감독, 배우가 인기를 끌었다. 또한, 공장에서 일하는 방직공, 제화공 등이 중요한 직업이었다.

사라진 직업

이 시기에는 전통적인 생활 방식이 변화하면서 일부 직업이 사라졌다. 우편 마차 운영자는 자동차와 철도 운송이 보편화되면서 사라졌고, 빙장수(얼음 장수) 역시 가정용 냉장고의 보급으로 사라졌다. 또한, 등잔을 사용하던 시기가 끝나면서 등잔 기름 장수도 더 이상 필요하지 않게 되었다.

 

 

 

 

 

 

1960년대 : 본격적인 산업화와 도시화

 

인기 직종

1960년대는 본격적인 산업화가 이루어진 시기로, 섬유산업과 제조업이 발전하였다. 이에 따라 섬유엔지니어, 가발기능공이 유망 직업으로 떠올랐다. 또한, 대중교통 이용이 증가하면서 버스 안내양, 택시기사 등의 직업도 주목받았다.

사라진 직업

이 시기에는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일부 직업이 사라졌다. 버스 안내양은 자동 요금 징수 시스템이 도입되면서 점차 감소했다. 또한, 타자기 수리공은 전자식 타자기의 등장으로 필요성이 줄어들었으며, 해외 생산이 늘어나면서 가발기능공도 점차 감소했다.

 

 

 

 

 

 

 

 

1970년대 : 제조업 중심 경제와 대기업 성장

 

인기 직종

1970년대는 경제 개발 5개년 계획이 본격적으로 추진되면서 제조업과 금융업이 성장한 시기이다. 이에 따라 대기업 사원, 은행원이 인기 직업으로 부상하였다. 또한, 건설 붐이 일어나면서 건설업 기술자, 중장비 기사도 각광받았다.

사라진 직업

이 시기에는 전화 기술이 발달하면서 전화 교환원이 점차 사라졌다. 또한, 기업 내에서 문서를 전달하던 **급사(심부름꾼)**는 팩스와 내부 메신저 시스템이 도입되면서 감소했다. 난방 방식이 연탄과 가스로 바뀌면서 석탄배달부도 점점 사라졌다.

 

 

 

 

 

 

 

 

1980년대 : 정보화 사회로의 전환

 

인기 직종

1980년대는 기술 발전과 함께 정보화 사회로 전환되던 시기이다. 컴퓨터가 점차 보급되면서 프로그래머, 전산직 공무원 등이 인기 직종으로 떠올랐다. 또한, 금융 산업이 성장하면서 증권 애널리스트, 회계사 등의 직업도 주목받았다.

사라진 직업

비디오 테이프(VHS)가 보급되면서 극장 필름 편집기사의 수요가 감소했다. 또한, TV 뉴스와 인터넷 뉴스의 등장으로 가판 신문 판매원이 점차 사라졌다. LP 음반을 관리하고 수리하던 LP 음반 수리공도 CD와 카세트테이프의 등장으로 필요성이 줄어들었다.

 

-------

 

 

 

1990년대 : 인터넷과 글로벌화의 시작

 

인기 직종

1990년대는 인터넷이 대중화되면서 웹마스터, 프로그래머, 네트워크 관리자와 같은 IT 관련 직업이 각광받았다. 또한, 기업 간 인수·합병(M&A)이 활발해지면서 M&A 전문가가 주목받았다.

사라진 직업

휴대전화가 급격히 보급되면서 삐삐(무선호출기) 운영업체 직원이 사라졌다. 또한, VHS 테이프가 DVD로 대체되면서 **비디오 편집기사(VHS 편집)**의 필요성이 감소했다. CD와 MP3의 등장으로 카세트테이프 수리공도 사라졌다.

 

 

 

 

 

 

2000년대 : IT 혁명과 디지털화

 

인기 직종

2000년대에는 정보기술(IT)이 급격히 발전하면서 소프트웨어 개발자, 네트워크 관리자, 데이터베이스 관리자가 유망 직종으로 떠올랐다. 또한, 온라인 쇼핑이 성장하면서 전자상거래 전문가도 각광받았다.

사라진 직업

인터넷 검색 엔진이 보편화되면서 전화번호부 제작자가 사라졌다. 또한, DVD 대여점이 감소하면서 DVD 대여점 직원이 필요하지 않게 되었다.

 

 

 

 

 

 

 

2010년대 : 4차 산업혁명과 인공지능(AI) 도입

 

인기 직종

2010년대에는 인공지능(AI), 빅데이터, 사물인터넷(IoT) 등의 기술이 부상하면서 AI 전문가, 데이터 분석가, IoT 엔지니어가 인기 직업으로 떠올랐다. 또한, SNS와 1인 미디어가 발전하면서 유튜버, 콘텐츠 크리에이터가 새롭게 주목받았다.

사라진 직업

디지털 사진 기술이 발달하면서 아날로그 사진 인화업체 직원이 사라졌다. 또한, MP3 플레이어가 스마트폰으로 대체되면서 MP3 플레이어 제조업체 직원도 필요하지 않게 되었다.

 

 

 

-------

 

 

 

2020년대: 디지털 전환과 자동화 가속화

 

인기 직종

2020년대에는 클라우드 컴퓨팅, 사이버 보안,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등이 각광받고 있다. 이에 따라 클라우드 엔지니어, 사이버 보안 전문가, VR/AR 개발자 등의 직업이 유망하다. 또한, 팬데믹 이후 원격 근무가 증가하면서 디지털 노마드, 온라인 교육 강사 등의 직업도 떠오르고 있다.

사라진 직업

AI 챗봇과 자동 응답 시스템(IVR)의 발전으로 콜센터 상담원의 역할이 축소되고 있다. 또한, 스마트폰 앱 기반 택시 호출 서비스가 보편화되면서 택시 콜센터 직원이 감소하고 있다. 은행 창구 업무가 디지털화되면서 은행 창구 직원도 점점 줄어들고 있다.

 

마무리

 

사회와 기술이 변화함에 따라 인기 직종은 꾸준히 바뀌고 있으며, 새로운 직업이 등장하는 동시에 일부 직업은 사라지고 있다. 자동화와 디지털 기술이 발전하면서 반복적인 업무를 수행하는 직업은 감소하고 있으며, 반면 창의성과 문제 해결 능력이 필요한 직업은 증가하는 추세이다. 앞으로도 이러한 변화는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